HTTP와 HTTPS, 뭐가 다를까? 차이점 알아보기

HTTP

웹사이트 주소를 보면 어떤 건 http://로 시작하고, 어떤 건 https://로 시작하는 걸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요즘 대부분의 사이트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죠. 이게 보안이 잘 되어 있다는 표시라는 건 알겠는데, 도대체 HTTP와 HTTPS의 차이는 뭘까? 그리고 SSL, TLS는 왜 같이 언급되는 걸까?

처음 공부하면 이게 참 헷갈립니다. 이 글에서는 웹 통신 보안의 기본이 되는 HTTP와 HTTPS의 차이를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 HTTP란? 가장 기본적인 웹 통신 방법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기본적인 약속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ttp://사이트.com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서버에 “이 페이지 주세요!”라고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HTML 파일을 돌려주는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 HTTP의 단점: “누구나 볼 수 있다”는 문제

공공장소의 와이파이나 PC방 같은 개방된 네트워크에서 누군가가 패킷을 가로채면,
로그인 정보, 검색 내용, 입력한 글까지도 고스란히 볼 수 있다는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 테스트 삼아 와이파이 환경에서 패킷 분석 툴로 HTTP 요청을 찍어본 적이 있었는데,
진짜로 내가 입력한 텍스트가 그대로 보이더라고요. 여기서 HTTPS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습니다.


✅ HTTPS란? HTTP에 보안을 더한 버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HTTP에 SSL/TLS라는 암호화 계층을 덧붙인 보안 버전입니다.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의 통신 내용을 암호화해 도청이나 위조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제가 운영하던 테스트용 블로그에도 HTTPS를 적용해본 적이 있었는데,
Let’s Encrypt 같은 무료 인증서를 쓰니까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거의 클릭 몇 번이면 쉽게 가능하더라고요.


🔐 SSL과 TLS는 뭐고, HTTPS랑 무슨 관계일까?

HTTPS = HTTP + SSL/TLS입니다.
SSL(Secure Sockets Layer)은 예전에 쓰던 보안 프로토콜이고,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SSL을 개선한 최신 버전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요즘 우리가 쓰는 HTTPS는 사실상 HTTP와 TLS를 합친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실무에선 여전히 SSL 인증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그냥 관습적인 명칭인 것 같습니다


🧾 작동 원리는 복잡해 보여도 핵심은 간단합니다

HTTPS로 접속하면, 브라우저와 서버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보안 연결을 하고 싶어요”라고 요청
  2. 서버가 인증서와 공개키를 보냄
  3. 브라우저가 이걸 확인하고, 세션 키를 생성해 암호화해서 서버로 전송
  4. 이후부터는 이 세션 키를 기반으로 모든 통신이 암호화

이 과정을 TLS 핸드셰이크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깊게 몰라도 “서버랑 브라우저가 서로 비밀 키를 주고받고 안전하게 대화하는구나 정도만 이해하셔도 충분합니다.


✅ 왜 HTTPS를 써야 할까?

HTTPS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 개인정보 보호 (로그인, 카드 정보, 주소 등)
  • 보안 신뢰도 향상 (자물쇠 표시가 없으면 요즘은 방문자들이 불안해해요)
  • SEO(검색엔진 최적화) 측면에서도 HTTPS 사이트가 우선 노출됩니다
  • 애드센스 승인 조건 중 하나가 HTTPS 적용이기도 합니다!

💡 HTTP vs HTTPS 한눈에 비교

항목HTTPHTTPS
암호화❌ 없음✅ 있음 (SSL/TLS)
데이터 보호❌ 노출 위험✅ 안전하게 암호화
브라우저 표시http://https:// + 🔒 자물쇠그림

✅ 마무리하며

이제는 HTTPS가 왜 필요한지, 그리고 SSL/TLS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좀 더 감이 올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HTTP는 기본 통신 방식이지만 보안이 없다
  • HTTPS는 SSL/TLS를 통해 암호화된 안전한 HTTP
  • SSL은 이전 기술, 현재는 TLS가 표준
  • 자물쇠 아이콘은 브라우저가 사이트와 안전하게 대화하고 있다는 표시

이제부터는 웹사이트 주소를 볼 때 단순히 https://가 붙었는지 아닌지만 봐도 보안 수준을 확인할 수 있겠죠?
사이트 운영자가 된다면, 꼭 HTTPS를 적용해두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